디지털 텔레비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디지털 텔레비전은 아날로그 텔레비전에 비해 여러 장점을 가진다. 디지털 텔레비전은 표준 해상도(SDTV)와 고해상도(HDTV) 화면을 모두 전송할 수 있으며, 채널 대역폭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멀티플렉싱,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와 같은 부가 서비스를 제공한다. 디지털 신호는 아날로그 신호보다 간섭에 강하며, 다양한 전송 방식(지상파, 케이블, 위성, IPTV 등)을 지원한다. 디지털 텔레비전은 여러 국가에서 다양한 표준(DVB, ATSC, ISDB, DTMB 등)으로 방송되며, 미국, 영국, 일본 등 여러 국가에서 아날로그 방송을 중단하고 디지털 방송으로 전환했다. 디지털 텔레비전 전환은 아날로그 수신기 폐기, 환경 오염 등의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디지털 기술 - 텔레비전
텔레비전은 움직이는 영상과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고 수신 측에서 다시 영상과 소리로 바꾸는 기술을 이용한 매체로, 닙코프 원판을 이용한 초기 기계식 방식에서 음극선관 발명을 통해 전자식으로 발전하여 디지털 기술과 다양한 디스플레이 기술 발전을 거쳐 현재에 이르렀으며 사회, 문화, 경제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지만 건강 문제 및 부정적 콘텐츠 노출 등의 부작용도 존재한다. - 디지털 기술 - 광대역
광대역은 넓은 대역폭을 활용해 다양한 주파수나 채널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 방식으로, 음성, 데이터, 비디오 등 다양한 서비스를 통합 제공하며 전화 접속보다 빠르고 항상 연결된 인터넷 환경을 제공한다. - 디지털 텔레비전 - DTMB
DTMB는 중국에서 개발되어 국가 표준으로 채택된 지상파 디지털 TV 방송 표준으로, 고정 및 이동 수신을 지원하며, 첨단 기술을 활용하여 SD, HD,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고, 여러 국가와 지역에서 사용되며, 단일 및 다중 주파수 네트워크를 모두 지원하는 유연성을 갖추고 있다. - 디지털 텔레비전 - ATSC
ATSC는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표준을 개발하는 미국 기관으로, 1996년 ATSC 1.0 표준이 채택된 후 H.264 코덱을 지원하는 개정판이 승인되었으며, 미국을 비롯한 여러 국가에서 디지털 방송 전환에 사용되었으나 특허 문제와 기술적 한계, 국가별 적용 차이 등의 이슈가 있고, 최근에는 ATSC 3.0이 개발되어 도입되고 있다. - 전기 통신 - 텔레비전
텔레비전은 움직이는 영상과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고 수신 측에서 다시 영상과 소리로 바꾸는 기술을 이용한 매체로, 닙코프 원판을 이용한 초기 기계식 방식에서 음극선관 발명을 통해 전자식으로 발전하여 디지털 기술과 다양한 디스플레이 기술 발전을 거쳐 현재에 이르렀으며 사회, 문화, 경제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지만 건강 문제 및 부정적 콘텐츠 노출 등의 부작용도 존재한다. - 전기 통신 - 고속 패킷 접속
고속 패킷 접속(HSPA)은 3세대 이동통신(3G)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높이는 기술 집합체로, 고속 하향/상향 패킷 접속(HSDPA/HSUPA)을 통해 속도를 개선하고 다중 안테나, 고차 변조, 다중 주파수 대역 활용 등의 기술로 진화했으나, LTE 및 5G 기술 발전으로 현재는 상용 서비스가 중단되었다.
디지털 텔레비전 | |
---|---|
디지털 텔레비전 | |
개요 | |
유형 | 텔레비전 방송 |
전송 방식 | 디지털 신호 |
핵심 기술 | 디지털 압축 |
관련 표준 | 디지털 비디오 방송 ATSC ISDB 디지털 지상파 멀티미디어 방송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
주파수 대역 | 초단파 극초단파 초고주파 |
디지털 텔레비전 표준 | |
DVB 계열 | DVB-T (지상파) DVB-T2 DVB-S (위성) DVB-S2 DVB-S2X DVB-C (케이블) DVB-C2 DVB-H (휴대용) DVB-NGH DVB-T2-Lite DVB-SH (위성) |
ATSC 계열 | ATSC (지상파/케이블) ATSC 2.0 ATSC 3.0 ATSC-M/H (휴대용) |
ISDB 계열 | ISDB-T (지상파) ISDB-T International SBTVD (브라질) ISDB-S (위성) ISDB-C (케이블) 1seg (휴대용) |
DTMB 계열 | DTMB (지상파) DTMB-A CMMB (휴대용) |
DMB 계열 | T-DMB (지상파) S-DMB (위성) |
코덱 | 비디오 H.265/MPEG-H HEVC H.264/MPEG-4 AVC H.262/MPEG-2 파트 2 VC-1 AVS 오디오 MPEG-H HE-AAC AAC AC-4 E-AC-3 AC-3 MP3 MP2 |
역사 | |
배경 | 아날로그 텔레비전의 기술적 한계 극복 |
주요 변화 | 고화질 및 다양한 기능 제공 |
주요 장점 | 고화질 다채널 방송 데이터 방송 양방향 통신 |
디지털 전환 | 아날로그 방송 종료 |
디지털 방송의 특징 | |
장점 | 화질 및 음질 향상 데이터 방송 및 양방향 서비스 다채널 방송 가능 |
압축 기술 | MPEG 등 압축 기술 사용 |
채널 간섭 | 간섭이 적음 |
전송 효율 | 전송 효율 높음 |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 | 디지털 셋톱 박스 필요 |
국가별 디지털 방송 현황 | |
대한민국 | 디지털 지상파 텔레비전 전환 완료 |
일본 | 디지털 방송으로 전환 완료 |
미국 | 디지털 방송으로 전환 완료 |
유럽 | 디지털 방송으로 전환 완료 |
2. 역사
1980년대 일본 전자산업은 일본방송협회(NHK)가 MUSE 방식 아날로그 하이비전을 세계 최초로 개발하는 등 고해상도화를 추진했다.[29] 이에 위협을 느낀 미국 정부는 새로운 방식의 개발을 지시했고, 다른 디지털 규격안을 바탕으로 디지털 HDTV 규격인 ATSC이 결정되었다. 일본에서는 BS 디지털 규격으로 하이비전 방송이 시작되었지만, MUSE 방식은 거의 확산되지 못하고 끝났다.
"다채널화"에서는 다이렉트TV가 위성 텔레비전을 디지털화하여 채널 수를 케이블 텔레비전 수준으로 맞춘 덕분에 급속히 보급되었다. 이러한 성공으로 세계 각국에서 유사한 서비스가 잇따라 시작되었다. 일본에서는 퍼펙트TV(DVB-S 방식)가 처음으로 시작되었다. 또한, 영국에서는 세계 최초로 다채널 형태의 지상파 디지털 방송을 시작했다.
디지털 지상파 텔레비전은 2000년대 이후 전 세계적으로 단계적으로 상용화되었다.
- 각국 정부는 디지털 지상파 텔레비전을 "차세대 성장 동력 사업" 중 하나로 간주하여 세계적인 "디지털 혁명"에서 우위를 차지하기 위해 투자를 늘리고 있으며, 기존 TV에서 사용하던 주파수 대역을 다른 통신 수단을 위해 사용하려고 한다.
- 방송사업자들은 디지털 지상파 텔레비전을 디지털 케이블 TV, 디지털 위성 TV 또는 PVR, VOD와 같은 다른 디지털 영상물 배포 기술과 경쟁할 수단으로 보고 있으며, 시청자들과 더욱 긴밀하게 상호작용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하려고 한다.
- 장비 생산업체에서는 디지털 지상파 텔레비전을 위해 먼저 셋톱박스를 판매하고 있으며, 지금은 텔레비전과 셋톱박스가 합쳐진 일체형 제품을 판매하고 있다.
- 시청자들은 디지털 지상파 텔레비전을 기존의 안테나에서 더 많은 프로그램이나 고화질의 방송을 얻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하고 있다. 케이블이나 위성방송은 많은 채널을 한정된 공간에 넣어야 해서 많은 기계를 거쳐서 직접 안테나로 받아서 보는 것보다 화질이 떨어질 수 있다. 직접 안테나로 받아서 보는 것이 제일 깨끗하다.
2. 1. 기술 발전
디지털 텔레비전 기술 발전은 저렴하고 성능 좋은 컴퓨터의 등장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1990년대에 들어서야 디지털 TV가 현실적인 가능성으로 떠올랐다.[7] 그 이전에는 비압축 비디오의 매우 높은 대역폭 요구 때문에 디지털 TV는 실용적이지 않았다.[8][9] SDTV 신호에는 약 200Mbit/s의 대역폭이 필요했고,[8] HDTV에는 1Gbit/s가 넘는 대역폭이 필요했다.[9]1980년대 중반, 도시바(Toshiba)는 마이크로프로세서와 같은 집적회로 칩을 사용하여 아날로그 방송 신호를 디지털 비디오 신호로 변환하는 디지털 기능을 갖춘 텔레비전을 출시하여 화면 멈춤 및 두 채널 동시 표시와 같은 기능을 가능하게 했다. 1986년에는 소니(Sony)와 NEC 홈 일렉트로닉스(NEC Home Electronics)가 디지털 비디오 기능을 갖춘 유사한 TV를 발표했다. 그러나 당시에는 실제 디지털 TV 방송이 없었기 때문에 여전히 아날로그 TV 방송 신호에 의존했다.[10][11]
1986년 일본의 일본전신전화(Nippon Telegraph and Telephone, NTT)와 일본 우정성(MPT)은 "통합 네트워크 시스템" 서비스 개발 계획과 함께 디지털 TV 방송 서비스를 제안했다. 그러나 움직임 보상 DCT 비디오 압축 형식인 MPEG의 도입으로 1990년대 초에 가능해질 때까지 실질적으로 디지털 TV 서비스를 구현하는 것은 불가능했다.[8]
1980년대 중반, 일본의 가전업체들이 HDTV 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일본 공영 방송사인 NHK가 전 세계 표준으로 MUSE 아날로그 형식을 제안하면서 일본의 발전은 미국 가전업체를 위협하는 선도적인 기술로 여겨졌다. 1990년 6월까지 아날로그 시스템 기반의 일본 MUSE 표준은 당시 검토 중이던 23개 이상의 다양한 기술 개념 중 선두주자였다.
1988년부터 1991년 사이에 여러 유럽 기관은 SDTV와 HDTV 모두를 위한 DCT 기반 디지털 비디오 코딩 표준을 연구했다. CMTT와 ETSI의 EU 256 프로젝트와 이탈리아 방송사 RAI의 연구를 통해 SDTV를 34Mbit/s로, 스튜디오급 근접 HDTV를 약 70Mbit/s에서 140Mbit/s로 방송하는 DCT 비디오 코덱이 개발되었다. RAI는 1990년 3월 1990년 FIFA 월드컵 방송을 통해 이를 시연했다.[9][12] 미국 회사인 제너럴 인스투르먼트(General Instrument)도 1990년 디지털 텔레비전 신호의 실현 가능성을 입증했다. 이로 인해 FCC는 디지털 기반 표준이 개발될 때까지 고급 텔레비전(ATV) 표준에 대한 결정을 연기하도록 설득되었다.
1990년 3월 디지털 표준이 달성될 수 있다는 것이 분명해지자 FCC는 몇 가지 중요한 조치를 취했다. 첫째, 위원회는 새로운 TV 표준이 향상된 아날로그 신호 이상이어야 하며 기존 텔레비전 이미지 해상도의 최소 두 배인 진정한 HDTV 신호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고 선언했다. 둘째, 새로운 디지털 텔레비전을 구매하지 않으려는 시청자가 기존 텔레비전 방송을 계속 수신할 수 있도록 새로운 ATV 표준은 다른 채널에서 동시 방송될 수 있어야 한다고 명시했다. 새로운 ATV 표준은 새로운 DTV 신호가 완전히 새로운 설계 원칙을 기반으로 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 기존 NTSC 표준과 호환되지 않지만 새로운 DTV 표준은 많은 개선 사항을 통합할 수 있었다.[7]
FCC의 최종 표준에서는 스캔 형식, 종횡비 또는 해상도 선에 대한 범용 표준이 만들어지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두 가지 스캔 프로세스인 인터레이스와 프로그레시브 중 어느 것이 더 우수한지에 대한 소비자 전자 산업(일부 방송사와 함께)과 컴퓨터 산업(영화 산업 및 일부 공익 단체와 함께) 간의 분쟁으로 인한 것이다. 전 세계 텔레비전에 사용되는 인터레이스 스캔은 짝수 번호의 선을 먼저 스캔한 다음 홀수 번호의 선을 스캔한다. 컴퓨터에 사용되는 형식인 프로그레시브 스캔은 위에서 아래로 순서대로 선을 스캔한다. 컴퓨터 산업은 프로그레시브 스캔이 인터레이스 스캔 방식으로 깜빡임이 없기 때문에 우수하다고 주장했다. 또한 인터넷 연결이 더 쉽고 인터레이스 형식으로의 변환이 반대보다 저렴하다고 주장했다. 영화 산업 또한 프로그레시브 스캔을 지지했는데, 이는 영화 프로그램을 디지털 형식으로 변환하는 데 더 효율적인 방법을 제공하기 때문이었다. 소비자 가전 업계와 방송사는 인터레이스 스캔이 당시(그리고 현재) 가능한 최고 품질의 사진, 즉 사진당 1,080줄과 줄당 1,920픽셀을 전송할 수 있는 유일한 기술이라고 주장했다. 방송사는 방대한 인터레이스 프로그래밍 아카이브가 프로그레시브 형식과 쉽게 호환되지 않기 때문에 인터레이스 스캔을 선호했다.[7]
1980년대, 일본의 전자산업은 고해상도화를 추진하여 NHK가 MUSE 방식아날로그 하이비전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 일본의 하이비전에 위협을 느낀 미국 정부는 새로운 방식의 개발을 지시했다.[29] 다른 디지털 규격안을 바탕으로 디지털 HDTV 규격인 「ATSC」이 결정되었다. 일본에서는 BS 디지털 규격인 「ISDB」에 의해 하이비전 방송이 시작되었지만, 반대로 MUSE 방식은 거의 확산되지 못하고 끝났다.
“다채널화”에서는 DirecTV가 위성 텔레비전을 디지털화하여 채널 수를 케이블 텔레비전 수준으로 맞춘 덕분에 급속히 보급되었다. 이 성공으로 세계 각국에서 유사한 서비스가 잇따라 시작되었다. 일본에서는 처음으로 퍼펙트TV(DVB-S 방식, 현: 스카파! 프리미엄 서비스)에 의해 시작되었다. 또한, 영국에서는 세계 최초로 다채널 형태의 지상파 디지털 방송을 시작했다.
2. 2. 국제 표준 경쟁
1980년대 일본 전자 산업은 고화질 텔레비전(HDTV) 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했고, NHK는 MUSE 방식아날로그 하이비전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 이에 위협을 느낀 미국 정부는 새로운 방식의 디지털 HDTV 규격인 ATSC 개발을 지시했다.[29] 일본에서는 BS 디지털 규격을 통해 하이비전 방송이 시작되었지만, MUSE 방식은 널리 보급되지 못했다.한편, DirecTV는 위성 텔레비전을 디지털화하여 채널 수를 케이블 텔레비전 수준으로 늘려 빠르게 보급되었다. 이러한 성공에 힘입어 세계 각국에서 유사한 서비스가 시작되었고, 일본에서는 퍼펙트TV(DVB-S 방식)가 처음으로 서비스를 개시했다. 영국에서는 세계 최초로 다채널 형태의 지상파 디지털 방송을 시작했다.
2. 3. 초기 상용화
디지털 지상파 텔레비전은 2000년대 이후 전 세계적으로 단계적으로 상용화되었다.
- 정부는 디지털 지상파 텔레비전을 "차세대 성장 동력 사업" 중 하나로 간주하여 세계적인 "디지털 혁명"에서 우위를 차지하기 위해 투자를 늘리고 있으며, 기존 TV에서 사용하던 주파수 대역을 다른 통신 수단을 위해 사용하려고 한다.
- 방송사업자들은 디지털 지상파 텔레비전을 디지털 위성 텔레비전 및 디지털 케이블 텔레비전 또는 PVR, VOD와 같은 다른 디지털 영상물 배포 기술과 경쟁할 수단으로 보고 있으며, 시청자들과 더욱 긴밀하게 상호작용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하려고 한다.
- 장비 생산업체에서는 디지털 지상파 텔레비전을 위해 먼저 셋톱박스를 판매하고 있으며, 지금은 텔레비전과 셋톱박스가 합쳐진 일체형 제품을 판매하고 있다.
- 시청자들은 디지털 지상파 텔레비전을 기존의 안테나에서 더 많은 프로그램이나 고화질의 방송을 얻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하고 있다. 케이블이나 위성방송은 많은 채널을 한정된 공간에 넣어야 해서 많은 기계를 거쳐서 직접 안테나로 받아서 보는 것보다 화질이 떨어질 수 있다. 직접 안테나로 받아서 보는 것이 제일 깨끗하다.
미국의 다이렉트TV는 1994년 5월, 디지털 위성 시스템 표준을 사용하여 최초의 상업용 디지털 위성 텔레비전 플랫폼을 출시했다.[13][14] 디지털 케이블 방송은 1996년 미국에서 텔레커뮤니케이션즈, 타임워너에 의해 시험 방송 및 출시되었다.[15][16] 최초의 디지털 지상파 플랫폼은 1998년 11월 영국에서 온디지털이라는 이름으로 DVB-T 표준을 사용하여 출시되었다.[17]
1980년대, 일본의 전자산업은 고해상도화를 추진하여 NHK가 MUSE 방식 아날로그 하이비전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 일본의 하이비전에 위협을 느낀 미국 정부는 새로운 방식의 개발을 지시했다.[29] 다른 디지털 규격안을 바탕으로 디지털 HDTV 규격인 ATSC이 결정되었다. 일본에서는 BS 디지털 규격인 ISDB에 의해 하이비전 방송이 시작되었지만, 반대로 MUSE 방식은 거의 확산되지 못하고 끝났다.
“다채널화”에서는 DirecTV가 위성 텔레비전을 디지털화하여 채널 수를 케이블 텔레비전 수준으로 맞춘 덕분에 급속히 보급되었다. 이 성공으로 세계 각국에서 유사한 서비스가 잇따라 시작되었다. 일본에서는 처음으로 퍼펙트TV(DVB-S 방식, 현: 스카파! 프리미엄 서비스)에 의해 시작되었다. 또한, 영국에서는 세계 최초로 다채널 형태의 지상파 디지털 방송을 시작했다.
3. 기술 정보
디지털 TV는 아날로그 TV와 같은 대역폭(6MHz 혹은 7MHz)에서 더 많은 채널을 수신하고 HD급 고화질 방송을 볼 수 있다. 디지털 신호는 아날로그 신호의 "고스트 현상"이나 "스노우 노이즈", 오디오의 고정 노이즈 같은 문제를 해결하여 깨끗한 방송을 시청할 수 있게 한다.[18] 하지만 수신율이 낮은 곳에서는 MPEG 압축 방식 때문에 "블록 노이즈" 같은 새로운 문제가 발생하거나, 아날로그 TV에서는 약간의 노이즈와 함께 시청할 수 있었던 방송을 전혀 볼 수 없는 경우가 생긴다.
HD급 디지털 TV로 전환되면서 화면 가로세로비가 4:3에서 16:9로 바뀌어, TV 화면이 영화나 사람 시각에 더 가까워졌다. 이전에는 레터박스처럼 4:3 화면 위아래에 검은 띠를 넣어 16:9로 맞추었다.
디지털 TV 신호는 아날로그 TV보다 전송 전력이 적게 필요하다.[21] 안테나 연결 상태나 날씨 변화로 수신 상태가 나빠지면 아날로그 TV 화질은 점차 저하되지만, 디지털 TV는 신호가 너무 약해지거나 간섭이 심해지기 전까지는 완벽한 영상을 보여준다. 이를 디지털 절벽 효과라고 한다.[24]
디지털 신호는 아날로그 방송의 스노우 노이즈, 고스트, 잡음이 없지만, 전송률 부족 시 MPEG 압축으로 블록 노이즈나 모스키토 노이즈가 생긴다. 뇌우, 폭설 등으로 전파 수신이 나빠지면 오류로 방송이 안 나올 수 있다.
MPEG-2 같은 압축 알고리즘 한계로 디지털 텔레비전(DTV) 영상에는 모기 소리(mosquito noise) 같은 화질 결함이 있을 수 있다.[22]
디지털 방송은 아날로그 방송과 같은 전파 대역에서 부호 선택으로 더 많은 정보를 전송하여 “다채널화”나 “고선명화”(HDTV)가 가능하다. 데이터 방송도 이용할 수 있다.
다음은 간섭 시나리오별 허용 신호대 잡음비와 신호대 간섭비 표이다.
시스템 매개변수 (보호 비율) | 캐나다 | 미국 | EBU ITU 모드 M3 | 일본 및 브라질 |
---|---|---|---|---|
AWGN 채널의 C/N | +19.5 dB (16.5 dB) | +15.19 dB | +19.3 dB | +19.2 dB |
아날로그 TV에 대한 동채널 DTV | +33.8 dB | +34.44 dB | +34 ≈37 dB | +38 dB |
DTV에 대한 동채널 아날로그 TV | +7.2 dB | +1.81 dB | +4 dB | +4 dB |
DTV에 대한 동채널 DTV | +19.5 dB (16.5 dB) | +15.27 dB | +19 dB | +19 dB |
아날로그 TV에 대한 하위 인접 채널 DTV | -16 dB | -17.43 dB | -5 ~ -11 dB | -6 dB |
아날로그 TV에 대한 상위 인접 채널 DTV | -12 dB | -11.95 dB | -1 ~ -10 dB | -5 dB |
DTV에 대한 하위 인접 채널 아날로그 TV | -48 dB | -47.33 dB | -34 ~ -37 dB | -35 dB |
DTV에 대한 상위 인접 채널 아날로그 TV | -49 dB | -48.71 dB | -38 ~ -36 dB | -37 dB |
DTV에 대한 하위 인접 채널 DTV | -27 dB | -28 dB | -30 dB | -28 dB |
DTV에 대한 상위 인접 채널 DTV | -27 dB | -26 dB | -30 dB | -29 dB |
3. 1. 방송 형식 및 대역폭
디지털 TV는 아날로그 TV와 같은 대역폭(6MHz 혹은 7MHz)에서 더 많은 채널을 수신하고 HD급 고화질 방송을 볼 수 있다. 디지털 신호는 아날로그 신호에 있던 "고스트 현상", "스노우 노이즈", 오디오의 고정 노이즈 같은 증상을 제거하여 깨끗한 방송을 시청할 수 있게 한다. 하지만 수신율이 낮은 곳에서는 MPEG 압축 방식 때문에 "블로킹"과 같은 새로운 증상이 나타나거나, 아날로그 TV에서는 약간의 노이즈와 함께 시청이 가능했던 방송을 전혀 시청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한다.[18]HD급 디지털 TV로 전환되면서 화면 가로세로비 형식이 4:3에서 16:9로 바뀌었다. இதனால் TV 화면 형식이 영화나 사람의 시각에 더 가까워졌다.
지상파 디지털 텔레비전(DTT) 방송 형식은 크게 고화질 텔레비전(HDTV)과 표준화질 텔레비전(SDTV)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HDTV 형식 중 하나는 프로그레시브 스캔 모드(약칭 ''720p'')의 픽셀 또는 인터레이스 비디오 모드(''1080i'')의 픽셀이다. 이들은 각각 16:9 종횡비를 사용한다.
SDTV는 방송 국가에서 사용되는 기술에 따라 다양한 종횡비를 가진 여러 가지 다른 형식을 사용할 수 있다. NTSC는 4:3에서 해상도와 16:9에서 해상도를 제공할 수 있는 반면, PAL은 4:3에서 과 16:9에서 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방송사는 비트 전송률을 줄이기 위해 이러한 해상도를 줄일 수 있다.
북미의 각 상업 방송 지상파 텔레비전 DTV 채널에는 초당 최대 19메가비트를 방송할 수 있을 만큼의 대역폭이 할당된다. 방송사는 프로그램 및 시스템 정보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다양한 품질과 압축률을 가진 여러 비디오 서브채널(일명 피드)을 포함하여 비디오가 아닌 데이터캐스팅 서비스를 여러 개로 나눌 수 있다.
방송사는 DTV 채널의 대역폭을 여러 디지털 서브채널로 나누어 동일한 채널에서 완전히 다른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여러 피드를 제공할 수 있다. 단일 HDTV 피드 또는 여러 개의 저해상도 피드를 제공하는 이 기능을 종종 비트 예산 배포 또는 멀티캐스팅이라고 한다.
3. 2. 수신 방식
디지털 텔레비전(DTV)은 다양한 방식으로 수신할 수 있다. 가장 오래된 방식 중 하나는 지상파 디지털 텔레비전(DTT)으로, 안테나를 통해 지상파 송신소에서 DTV 신호를 수신한다. 이 경우 시청자는 안테나 수신 범위 내의 채널만 시청할 수 있다.디지털 케이블과 디지털 위성 방식도 널리 사용된다. 일부 국가에서는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하는 디지털 다채널 다지점 배급 서비스가 사용되기도 한다. 휴대전화와 같은 휴대용 기기에서 TV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설계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및 휴대용 디지털 비디오 방송(DVB-H)과 같은 표준도 있다.
인터넷 프로토콜 텔레비전(IPTV)은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해 TV를 전송하는 방식이다. 또한, 중앙 스트리밍 서비스나 P2P(피어 투 피어) 시스템을 통해 개방형 인터넷(인터넷 텔레비전)으로 디지털 TV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일부 신호는 암호화되어 있으며, WIPO 저작권 조약이나 미국의 디지털 밀레니엄 저작권법과 같은 법률에 의해 보호된다. 암호화된 채널은 공통 인터페이스나 케이블카드와 같은 이동식 카드를 통해 접근이 제어될 수 있다.[1]
3. 3. 디지털 신호 보호
디지털 텔레비전 신호는 서로 간섭해서는 안 되며, 아날로그 텔레비전이 단계적으로 폐지될 때까지 아날로그 텔레비전과 공존해야 한다. 다음 표는 다양한 간섭 시나리오에 대한 허용 가능한 신호대 잡음비와 신호대 간섭비를 보여준다. 이 표는 방송국 위치와 전력 수준을 제어하는 중요한 규제 도구이다. 디지털 TV는 아날로그 TV보다 간섭에 대해 더 내성이 강하다.[19]시스템 매개변수 (보호 비율) | 캐나다 | 미국 | EBU ITU 모드 M3 | 일본 및 브라질 |
---|---|---|---|---|
AWGN 채널의 C/N | +19.5 dB (16.5 dB) | +15.19 dB | +19.3 dB | +19.2 dB |
아날로그 TV에 대한 동채널 DTV | +33.8 dB | +34.44 dB | +34 ≈37 dB | +38 dB |
DTV에 대한 동채널 아날로그 TV | +7.2 dB | +1.81 dB | +4 dB | +4 dB |
DTV에 대한 동채널 DTV | +19.5 dB (16.5 dB) | +15.27 dB | +19 dB | +19 dB |
아날로그 TV에 대한 하위 인접 채널 DTV | -16 dB | -17.43 dB | -5 ~ -11 dB | -6 dB |
아날로그 TV에 대한 상위 인접 채널 DTV | -12 dB | -11.95 dB | -1 ~ -10 dB | -5 dB |
DTV에 대한 하위 인접 채널 아날로그 TV | -48 dB | -47.33 dB | -34 ~ -37 dB | -35 dB |
DTV에 대한 상위 인접 채널 아날로그 TV | -49 dB | -48.71 dB | -38 ~ -36 dB | -37 dB |
DTV에 대한 하위 인접 채널 DTV | -27 dB | -28 dB | -30 dB | -28 dB |
DTV에 대한 상위 인접 채널 DTV | -27 dB | -26 dB | -30 dB | -29 dB |
3. 4. 아날로그 TV와의 비교
디지털 TV는 아날로그 TV와 같은 대역폭(6MHz 혹은 7MHz)에서 더 많은 채널을 수신하고 HD급 고화질 방송을 볼 수 있다. 디지털 신호는 아날로그 신호가 가지고 있던 "고스트 현상"이나 "스노우 노이즈", 그리고 오디오의 고정 노이즈와 같은 증상을 제거하여 깨끗한 방송을 시청할 수 있게 되었다.[20] 하지만 수신율이 낮은 곳에서는 MPEG 압축 방식에 의해 "블록 노이즈"와 같은 새로운 증상이 나타나거나, 아날로그 TV에서는 약간의 노이즈와 함께 시청이 가능했던 방송들을 전혀 시청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한다.HD급 디지털 TV로 전환되면서 화면의 가로세로비 형식을 4:3에서 16:9로 전환하였다. 이로 인해 TV 화면의 형식이 영화나 사람의 시각에 더 가까워지게 되었다. 기존의 화면에서는 레터박스라고 하여 4:3 형식의 화면 위아래에 검은 띠를 넣어서 화면의 가로세로비를 16:9로 맞추었다.
디지털 TV 신호는 아날로그 TV 신호보다 만족스러운 방송 및 수신을 위해 필요한 전송 전력이 적다.[21] 안테나 연결 상태 저하나 날씨 변화와 같은 요인으로 인한 수신 상태 변화는 아날로그 TV의 화질을 점차 저하시킬 수 있다. 디지털 TV의 특성상, 수신 장비가 원하는 신호보다 강한 간섭을 수신하기 시작하거나 신호가 너무 약해서 디코딩할 수 없을 때까지는 처음에는 완벽하게 디코딩 가능한 비디오가 표시된다. 일부 장비는 상당한 손상을 입은 깨진 영상을 보여주는 반면, 다른 장치는 완벽하게 디코딩 가능한 비디오에서 아예 비디오가 표시되지 않거나 멈춰 버릴 수 있다.[23] 이러한 현상을 디지털 절벽 효과라고 한다.[24]
디지털 신호에서는 아날로그 방송에서 발생하는 스노우 노이즈나 고스트 및 잡음 등의 현상은 발생하지 않는다. 그 대신 전송률이 부족하면 MPEG 압축 시 블록 노이즈나 모스키토 노이즈가 발생한다. 또한 뇌우나 집중 호우, 폭설 등으로 전파 수신 상태가 악화되면(강우 감쇠) 부호 오류가 시스템의 오류 처리 능력을 넘어서면 베리 노이즈나 백색점이 나타나거나 전혀 방송이 나오지 않을 수 있다.
디지털화에 의해 종횡비(종횡비)가 4:3(노멀)에 더해 16:9(와이드)가 추가된다.
3. 5. 압축 및 화질
디지털 TV는 아날로그 TV와 같은 대역폭을 사용하면서도 더 많은 채널을 수신하고 HD급 고화질 방송을 제공한다. 디지털 신호는 아날로그 신호의 "고스트 현상"이나 "스노우 노이즈" 같은 문제를 해결하여 깨끗한 화질을 제공하지만, MPEG 압축 방식 때문에 수신율이 낮은 곳에서는 "블로킹" 같은 새로운 문제가 발생하거나, 아날로그 TV에서는 보이던 방송이 전혀 보이지 않을 수 있다.[22]디지털 텔레비전(DTV) 영상에는 아날로그 텔레비전이나 영화에는 없는 화질 결함이 있는데, 이는 MPEG-2 같은 압축 알고리즘의 한계 때문이다. 이러한 결함을 모기 소리(mosquito noise)라고 부르기도 한다.[22] 인간의 시각 시스템은 이미지의 특정 특징에 국한되거나 왔다 갔다 하는 결함을 더 잘 감지하기 때문에, DTV 시스템은 이러한 결함을 가리는 데 초점을 맞춰 설계되었다. 예를 들어, 빠른 움직임 중에는 더 많은 압축 아티팩트(compression artifacts)를 허용하고, 정지된 배경에서는 아티팩트를 최소화한다.
방송 사업자들은 구조적 유사성 지수 측정법(structural similarity index measure, SSIM) 같은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화질을 제어하며, 넷플릭스(Netflix)의 VMAF 화질 모니터링 시스템에서는 시각 정보 충실도(visual information fidelity, VIF)라는 도구를 사용한다.
양자화 효과는 진폭이 작은 영역에서 부드러운 그라데이션 대신 윤곽선을 만들 수 있다. 구름 없는 하늘 같은 장면에서는 눈에 보이는 '단계'가 나타나기도 하는데, 이를 색상 밴딩(color banding)이라고 한다.
디지털 방송은 아날로그 방송과 같은 전파 대역에서도 전송 특성에 맞는 부호를 선택하여 더 많은 정보를 전송할 수 있어 “다채널화” 또는 “고선명화”(HDTV)가 가능하다. 데이터 방송 같은 기능도 이용할 수 있다.
디지털 신호에서는 아날로그 방송의 스노우 노이즈나 고스트 및 잡음은 발생하지 않지만, 전송률이 부족하면 MPEG 압축 시 블록 노이즈나 모스키토 노이즈가 발생한다. 또한, 뇌우나 폭설 등으로 전파 수신 상태가 나빠지면 부호 오류가 발생하여 방송이 나오지 않을 수 있다.
4. 디지털 방송 표준
디지털 방송 표준은 여러 방식이 존재하며, 각 국가는 자국의 환경에 맞는 표준을 채택하여 사용하고 있다. 주요 디지털 방송 표준은 다음과 같다.
- DVB (Digital Video Broadcasting): 유럽에서 개발되어 유럽을 비롯한 여러 국가에서 널리 사용되는 방식이다. 위성용(DVB-S/S2/S2X), 케이블TV용(DVB-C/C2), 지상파용(DVB-T/T2), 이동체용(DVB-H) 등 다양한 전송 방식에 따른 세부 규격이 존재한다.
- ATSC (Advanced Television Systems Committee): 미국에서 개발된 지상파 방송 규격으로, 북미 지역과 한국에서 채택하고 있다. 전력 소모가 적고 넓은 지역에 전파를 송신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다중 경로 간섭에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다.[7]
- ISDB (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ing): 일본에서 개발된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규격이다. 일본 외에도 브라질을 비롯한 남미 여러 국가에서 채택한 SBTVD-T(ISDB-TB) 등 파생 규격이 존재한다. 위성용(ISDB-S), 지상파용(ISDB-T), 디지털 라디오용 ISDB-TSB, 멀티미디어 방송용 ISDB-Tmm이 있다.
- 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대한민국에서 개발된 이동통신 방송 규격으로, 위성용(S-DMB)과 지상파용(T-DMB)이 있다.
- DTMB (Digital Terrestrial Multimedia Broadcast): 중국에서 개발된 지상파 디지털 텔레비전 표준이다. 2006년 8월 18일 국가 지상파 방송 규격 「GB 20600-2006」으로 공포되었다.[1]
4. 1. DVB (Digital Video Broadcasting)
디지털 비디오 방송(DVB)은 유럽에서 개발되어 많은 국가에서 채택되고 있다. 위성용(DVB-S/S2/S2X), 케이블TV용(DVB-C/C2), 지상파용(DVB-T/T2), 이동체용(DVB-H, 구 DVB-X)이 있다. 일본에서는 스카파!가 채택하고 있다. 일반 화질의 다채널화를 목적으로 규격화되었지만, 하이비전도 가능하다. DVB-T는 멀티캐리어이기 때문에 멀티패스 간섭에는 강하다.4. 2. ATSC (Advanced Television Systems Committee)
고급 텔레비전 시스템 위원회(Advanced Television Systems Committee, ATSC)는 미국에서 개발된 지상파 방송 규격이다. 북미 지역과 한국에서 채택되고 있다. 크레스트 팩터가 작아 전력 소모가 적고 넓은 지역에 전파를 송신할 수 있지만, 단일 반송파 방식이라 다중 경로 간섭에 취약하다. 이동체 방송을 위해 ATSC-M/H가 개발되었으며, 현재 미국에서 채택되고 있다.[7]4. 3. ISDB (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ing)
통합 디지털 방송 서비스(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ing, ISDB)는 일본에서 개발된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규격이다. 일본에서만 채택되었지만, 남미 여러 국가에서는 파생 규격인 SBTVD-T(ISDB-TB)를 사용하고 있다. 위성용(ISDB-S), 지상파용(ISDB-T), 디지털 라디오용 ISDB-TSB, 멀티미디어 방송용 ISDB-Tmm이 있다.ISDB-T는 멀티 캐리어 방식에 시간 인터리브 방식을 채택하여 DVB-T보다 수신 성능이 우수하다고 알려져 있으나, SBTVD-T보다는 떨어진다. 지연 시간이 가장 길고, 동영상 압축에는 MPEG-2를 사용한다. 휴대전화 등 이동체를 위한 방송은 원세그(ワンセグ)라고 불리며, ISDB-T의 총 13세그먼트 중 1세그먼트만을 부분 수신한다. 1seg(1-세그먼트)는 각 채널이 13개의 세그먼트로 나뉘며, 이 중 12개는 고화질 텔레비전에, 나머지 1개는 휴대용 텔레비전이나 휴대전화와 같은 협대역 수신기에 할당되는 ISDB-T의 특수한 형태이다.[1]
4. 3. 1. SBTVD-T (Sistema Brasileiro de Televisão Digital-Terrestre)
브라질 지상파 디지털 텔레비전 시스템(Sistema Brasileiro de Televisão Digital-Terrestre, SBTVD-T)은 ISDB-T를 개량하여 개발된 규격으로, 국제 표준 명칭은 ISDB-TB이다. 브라질을 비롯한 남미 여러 국가에서 채택되었으며, 필리핀에서도 채택이 결정되었다. ISDB-T에 비해 동영상 압축에 H.264/MPEG-4 AVC를 사용하는 등의 개량이 이루어졌다.4. 4. 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영어 대한민국에서 개발된 이동통신 방송 규격으로, 위성용(S-DMB)과 지상파용(T-DMB)이 있다.4. 5. DTMB (Digital Terrestrial Multimedia Broadcast)
Digital Terrestrial Multimedia Broadcast영어는 중국에서 개발된 지상파 디지털 텔레비전 표준이다. 2008년 베이징 올림픽까지 본격적인 보급을 목표로 유럽의 DVB-T, 칭화대학교의 DMB-T/H, 상하이자오통대학교의 ADTB-T, 광저우과학기술대학의 TiMi 등이 시험되었으나, DVB-T를 제외한 3가지 방식을 통합한 DTMB가 2006년 8월 18일 국가 지상파 방송 규격 「GB 20600-2006」으로 공포되었다.[1]중국에서 주요한 지위를 차지하고 있는 케이블 텔레비전에서는 독자적인 표준을 채택하지 않고, DVB-C를 채택하고 있다.[1]
5. UHDTV (Ultra High Definition Television)
초고화질 텔레비전 시스템(Ultra High Definition Television)의 약자로, 4K UHD(2160p)와 8K UHD(4320p)가 있다. ISDB는 4K UHD를 지원한다. 일본에서는 2014년에 4K 방송을 시작했고(채널 4K), 2016년 8월 1일부터 8K 시험 방송을 시작했다. 차세대방송추진포럼의 발표 자료에는 지상파 방송 계획이 제시되어 있지 않아 지상파 방송은 소극적인 것으로 보인다.[30][31]
6. 국가별 도입 현황
디지털 텔레비전 전환은 1990년대 후반부터 시작되어 전 세계 대부분의 국가에서 순차적으로 완료되었다. 아날로그 튜너만 있는 텔레비전은 디지털 방송을 수신할 수 없으므로, 지상파 아날로그 방송이 종료되면 셋톱박스를 구매하여 디지털 신호를 수신해야 한다. 미국에서는 정부 지원 쿠폰을 통해 비용을 보조받을 수 있었다.[29]
다음은 국가별 디지털 전환 완료 현황이다.
년도 | 국가 |
---|---|
2006년 | 룩셈부르크(지상파), 네덜란드 |
2007년 | 안도라, 핀란드, 스웨덴, 스위스 |
2008년 | 독일 |
2009년 | 덴마크, 노르웨이, 미국 (전출력 중계소) |
2010년 | 벨기에, 크로아티아, 에스토니아, 건지섬, 저지섬, 라트비아, 룩셈부르크(케이블, 위성), 산마리노, 슬로베니아, 스페인, 영국(웨일스) |
2011년 | 오스트리아, 캐나다, 키프로스, 프랑스, 이스라엘, 일본(특별 재난 지역을 선언한 후쿠시마현, 이와테현, 미야기현은 제외), 몰타, 모나코, 터키, 영국(스코틀랜드) |
2012년 | 체코, 지브롤터, 아일랜드, 이탈리아, 일본(후쿠시마현, 이와테현, 미야기현), 리투아니아, 사우디아라비아, 카타르, 오만, 아랍에미리트, 요르단, 이집트, 바레인, 이라크, 쿠웨이트, 레바논, 시리아, 예멘, 포르투갈, 슬로바키아, 대한민국, 중화민국, 영국(잉글랜드, 북아일랜드) |
2013년 | 오스트레일리아, 아제르바이잔, 불가리아, 헝가리, 마케도니아, 모리셔스, 뉴질랜드, 폴란드, 짐바브웨 |
2014년 | 세르비아, 아이슬란드, 나미비아, 알제리 |
2015년 | 벨라루스, 브루나이, 그리스, 인도, 이란, 모로코 (UHF 대역), 멕시코, 몰도바, 루마니아 (UHF 대역), 르완다, 터키, 케냐, 우간다, 가나 |
2016년 | 버뮤다, 브라질(연방구, 고이아스주 리오베르데), 몽골, 우크라이나, 칠레, 중화인민공화국(중국중앙텔레비전), 부룬디 |
2017년 | 브라질(리우데자네이루주, 상파울루주 같은 일부 대도시), 필리핀 (라이트 네트워크), 스리랑카, 루마니아 (2단계), 독일 |
2018년 | 브라질(리우데자네이루주, 상파울루주를 포함한 모든 대도시), 엘살바도르, 루마니아 (VHF 대역), 태국, 우크라이나, 우즈베키스탄, 카자흐스탄 |
2019년 | 러시아, 볼리비아, 싱가포르, 인도 (1단계), 말레이시아, 몰도바 (트란스니스트리아), 페루 (리마, 카야오), 스리랑카, 코스타리카 |
2020년 | 브라질(전 지역), 중화인민공화국 (상업 방송), 모로코 (VHF 대역), 파나마, 홍콩, 인도네시아, 태국 (채널 3), 파라과이, 베네수엘라, 몰도바 (나머지), 수단, 코트디부아르 |
2021년 | 도미니카 공화국, 미국 (저출력 중계소), 인도 (2단계), 콜롬비아, 아르헨티나 |
2022년 | 캐나다 (나머지 지역), 엘살바도르 |
2023년 | 쿠바, 필리핀 (나머지 지역), 인도 (마지막 단계), 페루 (나머지 지역) |
2024년 이후 | 베트남 |
미정 | 남아프리카공화국, 우루과이 |
종료 계획 없음 | 라오스, 일부 아프리카 국가 |
6. 1. 대한민국
디지털 위성 방송으로는 대한민국의 유일 유료 위성 방송사인 KT스카이라이프가 서비스를 하고 있다. H.264방식을 이용해 여러 개의 채널에서 HD급 화질로 방송하고 있지만 대다수는 SD로 방송되고 있다. 산간 도서 지역의 난시청 해소를 위한 무궁화 위성 3호와 무궁화 위성 5호의 무료 수신일 경우 KBS1을 제외한 전 채널이 SD로 공급되고 있으며 일부 채널에 대한 HD 전환은 현재 논의 중이긴 하나 결정된 바가 없다.
케이블 사업자도 OpenCable기술을 사용하여 디지털 케이블 방송을 하고 있다. 디지털 케이블 방송사업자로는 CJ헬로비전, (옛Qrix), HCN, 딜라이브 (구:C&M), CMB 등이 있다. 이 역시도 소수의 채널을 HD로 방송하나 대다수의 채널은 SD로 방송된다. 참고로 지상파 아날로그 방송이 2012년 12월 31일에 종료돼도 케이블의 아날로그 방송은 2015년부터는 아날로그 송출을 중단하고 (DTV에서) 디지털로 송출하는 방식으로 완전히 전환되었다.
IPTV로는 KT의 올레 TV, SK브로드밴드의 B TV, LG유플러스의 U+ TV 사업자 방송들이 있으며 이들 모두 디지털로 방송 중이며 각 셋톱박스를 이용해 해상도를 정할 수 있다. (ATV: 480i, SDTV: 480p, HDTV: 720p, Full HDTV: 1080i를 권장한다.)
6. 2. 일본

지상파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을 줄여서 '''지데지'''(地デジ)라고 부르는 일본에서는 2011년 7월 24일, 지상파 아날로그 TV 방송이 완전 종료되고 ISDB방식의 지상파 디지털 TV 방송 체제로 완전 전환되었다.
일본 최초의 디지털 TV 방송은 1996년 CS방송 스카이 퍼펙TV와 2000년 BS 디지털 방송이다. 이는 1989년 NHK가 BS방송을 활용한 아날로그 하이비전 서비스를 제공했지만, 미국이나 유럽의 디지털 HD방송에게 시장을 선점당하는 시행착오를 경험한 이후의 쾌거라고 볼 수 있다.
NHK는 BS 방송 중 일부를 활용하여 하루에 1시간 정도의 실험적인 하이비전 방송을 시도하였다. (1단계) 이후 NHK와 6개 민방이 연합하여 하루에 8시간 동안 하이비전 프로그램을 제공하였고, 이후 17시간으로 1일 방송시간이 확대하였다. (2단계) NHK와 6개 민방이 중심이 되어 디지털 BS방송을 시작하였고, 2003년 12월부터 지상파 디지털 방송이 서비스를 개시하였다. (3단계) 프로그램의 경우 프라임 타임에 NHK는 90% 이상이 '''HD'''로 제작되었고, 민영 방송사들은 약 50% 수준에 도달하게 되었다.
2006년 말까지 전국 디지털 TV 방송이 서비스를 완성하였으며, 2011년 7월 24일에 디지털 TV 방송으로 전환하였다. 단, 도호쿠 지방 3개 현(이와테현·미야기현·후쿠시마현 등)의 경우 지진 해일의 여파로, 아날로그 송출 중단 시기가 2012년 3월 31일로 순연되었다.
1980년대, 일본의 전자산업은 고해상도화를 추진하여 NHK가 MUSE 방식아날로그 하이비전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 일본의 하이비전에 위협을 느낀 미국 정부는 새로운 방식의 개발을 지시했다.[29] 다른 디지털 규격안을 바탕으로 디지털 HDTV 규격인 「ATSC」이 결정되었다. 일본에서는 BS 디지털 규격인 「ISDB」에 의해 하이비전 방송이 시작되었지만, MUSE 방식은 거의 확산되지 못하고 끝났다.
“다채널화”에서는 DirecTV가 위성 텔레비전을 디지털화하여 채널 수를 케이블 텔레비전 수준으로 맞춘 덕분에 급속히 보급되었다. 이 성공으로 세계 각국에서 유사한 서비스가 잇따라 시작되었다. 일본에서는 처음으로 퍼펙트TV(DVB-S 방식, 현: 스카파! 프리미엄 서비스)에 의해 시작되었다. 또한, 영국에서는 세계 최초로 다채널 형태의 지상파 디지털 방송을 시작했다.
6. 3. 영국
영국에는 스카이 UK(Sky UK)로 불리는 '''영국 Sky 방송'''이 제공하는 위성방송, 버진 미디어(Virgin Media; 예전의 텔레웨스트와 NTL)가 제공하는 디지털 케이블 방송, 프리뷰(Freeview)로 불리는 무료 공중파 지상파 방송서비스의 세 가지 형태의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이 있다.최초로 출범한 디지털 지상파 방송인 ONdigital (후에 ITV Digital로 불림)은 실패하고 방송사는 파산했다.[29]
2002년 프리뷰(Freeview)가 ITV Digital을 대체했다. 프리뷰는 동일한 DVB-T 방식을 사용하였으나, 오류 정정 수준을 크게 높여서 전 사업자를 파산으로 몰고 간 수신률 문제를 해결하려 했다. 또한 유료 방송서비스 대신, 프리뷰는 기존의 5개 아날로그 무료 공중파와 새로운 20개 디지털 채널을 무료로 제공하고 있다. 모든 서비스는 SD급으로 전송되고 있다. 정부는 2010년까지 아날로그 방송을 중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영국에서는 세계 최초로 다채널 형태의 지상파 디지털 방송을 시작했다.
6. 4. 미국
1980년대, 일본의 전자산업은 고해상도화를 추진하여 NHK가 MUSE 방식아날로그 하이비전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 일본의 하이비전에 위협을 느낀 미국 정부는 새로운 방식의 개발을 지시했다.[29] 다른 디지털 규격안을 바탕으로 디지털 HDTV 규격인 ATSC이 결정되었다.2009년 6월 12일부터 전국에서 소출력 방송사를 제외한 모든 아날로그 텔레비전 방송이 중단되었으며, 미국 국민들은 디지털 방송 수신기와 같은 금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쿠폰을 받기도 했다. 아메리카 대륙에서 첫 번째로 디지털 전환을 완료한 국가로, 기존의 아날로그 브라운관 텔레비전 보유자들의 대한 처우도 원만하게 해결되며 이러한 과정은 대한민국의 디지털 전환의 모델이기도 하다.
아날로그 튜너만 있는 텔레비전은 디지털 방송을 수신할 수 없다. 지상파 아날로그 방송이 종료되면 아날로그 튜너만 있는 텔레비전 사용자는 케이블이나 녹화 매체 등 다른 방송 소스를 이용하거나 셋톱박스를 구매하여 디지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미국에서는 정부 지원 쿠폰을 통해 외부 변환기의 비용을 일부 보조받을 수 있었다.
6. 5. 기타 국가
캐나다 방송통신위원회(CRTC)는 미국과 동일한 디지털 표준을 채택했으나, 디지털 방송으로의 전환 일자를 정하지 않고 시장에 의한 자연스러운 변화가 일어날 것으로 기대했다. 하지만 2009년 9월 현재 캐나다 방송사들이 디지털 방송 송출을 확대할 기미가 보이지 않고 있다. 큰 도시들에서는 디지털 방송을 하고 있으나, 그 외에서는 디지털 방송이 되지 않는 이유는 미국 방송 대체(캐나다 방송국이 동시간대의 미국 방송국의 프로그램을 재송출하는 것) 때문이다. 그래서 2011년 8월 11일에 (극한 지역 제외) 아날로그 방송 송출을 끝냈다. 2009년 1월 현재 토론토에서는 아날로그로 방송하는 모든 방송사들(TV Ontario 제외, 하지만 디지털 방송이 예정됨)이 디지털로도 방송하고 있다. 밴쿠버에서는 거의 모든 방송사들이 디지털로 방송하고 있다. 그 외 몬트리올, 오타와 등에서는 CBC가 디지털로 방송하고 있다. 캘거리에서는 Global과 CTV가 디지털 방송을 하고 있다. 에드먼턴에서는 Global이 디지털 방송을 하고 있다. 2009년 9월 현재 전체적으로 밴쿠버, 토론토, 캘거리에서만 대형 방송사들이 디지털 방송을 하고 있다. 또한 토론토, 밴쿠버와 같은 미국 국경과 가까운 도시에서는 미국에서 송출되는 디지털이나 아날로그 방송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2012년 5월 31일까지 극한 지역과 모든 지역의 방송사들이 아날로그 방송 송출을 완전히 종료 후 완전 디지털화를 완료하였다.모든 대도시의 텔레비전 방송국과 지역 방송국은 현재 아날로그 PAL G/K방식과 디지털 DVB-T 방식으로 동시 송출하고 있다. SD급이 가장 일반적인 해상도이다. 법적으로 모든 방송은 100% SD급으로 송출되어야 하며, 이 중 일주일에 20시간 이상은 HD 해상도로 동시 송출하여야 한다.
상업방송의 다채널 방송은 몇몇을 제외하고는 (예를 들어 스포츠 중계방송이 시간 관계상 계속될 수 없으면, 부가 채널로 중계되며, 원 채널은 정규 방송을 내보낸다.) 중지되면, 금지되어 있다. SBS는 부가 채널(월드 뉴스 채널)을 갖고 있으며, ABC도 2003년까지 ABC 키즈와 Fly TV 채널을 갖고 있었다.
정보방송을 하기 위해선 방송사는 해당 허가를 받아야 한다.
2003년 12월 호주 최초의 디지털 전용 방송사가 탄생했다. 태스매니아 디지털 텔레비전국은 네트워크 텐의 태스매니아 지부로 시작되었다. 이 채널의 도입으로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은 여타 지역과는 달리 호버트에서 큰 호응을 얻었다.
오스트레일리아 정부는 2008년(이 시한은 재고될 것이다.)까지 모든 방송사가 디지털 방송만 하도록 요구했으며, 현재 아날로그 텔레비전 주파수는 다른 목적으로 쓰이도록 비워졌다. 2007년까지는 더 이상의 무료 공중파 방송은 허가하지 않을 예정이었으나 이 두 시한은 2005년 재고되었다.
현재,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은 아냘란코스키(Anjalankoski) 등의 모든 지역의 라디오와 텔레비전 방송 가시청권에서 볼 수 있다. 또한 바사(Vaasa) 지역의 방송국은 YLE 채널을 방송하고 있다. 또한 대도시에 위치한 다수의 케이블 회사가 기본 방송과 유로 방송을 디지털로 서비스하고 있다. YLE TV1, YLE TV2, MTV3, Neolonen으로 구성된 기본 채널에 더하여, 24시간 뉴스 채널, 스포츠 채널을 시청할 수 있다. 이 모든 채널은 무료다. 그러나 새로 생기는 채널 중에 유료 채널이 생길 가능성이 있다. 2007년 9월 1일, 아날로그 방송 송출은 중지되었다.[32]
2003년 두 단계를 거쳐서 베를린과 그 주변 브란덴부르크 지역의 지상파 아날로그 방송이 완전히 DVB-T 형식의 디지털 방송으로 바뀌었으며 2008년 11월 25일 디지털 전환이 완료되었다.
2000년대 초부터 독일의 30여 개 이상의 텔레비전 방송사들은 위성 신호를 아날로그와 디지털(DVB-S 방식)로 송출했다. 2003년에 디지털로만 송출하는 방송은 독일 유일의 유료 방송인 프리미어(Premiere)였으며, 프리미어 방송은 너무 이르게 디지털 방송에 암호를 걸어 소유권을 보호하려 했기 때문에 심각한 금전적 위기를 겪었다.
케이블 방송은 아직도 프리미어(DVB-C 방식)와 아날로그 밴드를 얻지 못한 몇 군소 업체를 제외한 대부분이 아날로그 형태이다. 이런 상황은 이전까지 독점권을 가지고 있었던 도이체 텔레콤이 기반 시설을 매우 천천히 매각하였으며, 매입사가 케이블 방송에 새로운 투자를 거의 하지 않은 것에 기인한다.
1980년대, 일본의 전자 산업은 고해상도화를 추진하여 NHK가 MUSE 방식아날로그 하이비전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 일본의 하이비전에 위협을 느낀 미국 정부는 새로운 방식의 개발을 지시했다.[29] 다른 디지털 규격안을 바탕으로 디지털 HDTV 규격인 「ATSC」이 결정되었다. 일본에서는 BS 디지털 규격인 「ISDB」에 의해 하이비전 방송이 시작되었지만, 반대로 MUSE 방식은 거의 확산되지 못하고 끝났다.
“다채널화”에서는 DirecTV가 위성 텔레비전을 디지털화하여 채널 수를 케이블 텔레비전 수준으로 맞춘 덕분에 급속히 보급되었다. 이 성공으로 세계 각국에서 유사한 서비스가 잇따라 시작되었다. 일본에서는 처음으로 퍼펙트TV(DVB-S 방식, 현: 스카파! 프리미엄 서비스)에 의해 시작되었다. 또한, 영국에서는 세계 최초로 다채널 형태의 지상파 디지털 방송을 시작했다.
7. 사회적 영향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표준은 기존 아날로그 수신기와 호환되지 않아, 많은 수의 아날로그 수신기가 폐기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7. 1. 부정적 영향
기존 아날로그 수신기와 호환되지 않는 방송 표준 채택으로 인해 많은 수의 아날로그 수신기가 폐기되는 문제가 발생했다. 2009년 한 공공 사업 감독관은 "규제 변경 후 2년 이내에 미국 가정의 최대 4분의 1이 TV를 버릴 수 있다"고 말했다.[25] 같은 해 미시간주의 한 재활용업체는 향후 1년 동안 가구의 4분의 1이 TV를 폐기하거나 재활용할 것으로 추산했다.[26] 디지털 텔레비전 전환, 고화질 텔레비전 수신기로의 이전, CRT에서 평면 스크린으로의 교체는 모두 폐기되는 아날로그 CRT 기반 텔레비전 수신기 증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다. 2009년 미국에서만 약 9900만 대의 아날로그 TV 수신기가 가정에서 사용되지 않고 있었으며, 일부 구형 수신기는 컨버터를 장착하여 개조되고 있지만, 더 많은 수신기가 매립지에 버려져 납과 같은 유독 금속뿐만 아니라 바륨, 카드뮴, 크롬과 같은 소량의 물질의 원인이 되고 있다.[27][28]참조
[1]
서적
Digital Television: An Overview
https://books.google[...]
Nova Publishers
[2]
웹사이트
HDTV Set Top Boxes and Digital TV Broadcast Information
http://www.disabled-[...]
2014-06-28
[3]
논문
Technology and Standards of Digital Television Terrestrial Multimedia Broadcasting
2010-05-01
[4]
웹사이트
Korea's Terrestrial DMB: Germany to begin broadcast this May
http://www.zdnet.co.[...]
ZDNet Korea
2006-04-06
[5]
웹사이트
picturephoning.com: DMB
http://www.textually[...]
Textually.org
2010-06-17
[6]
웹사이트
South Korea : Social Media 답변 내용 : 악어새 – 리포트월드
http://www.reportwor[...]
Reportworld.co.kr
2010-06-17
[7]
웹사이트
The Origins and Future Prospects of Digital Television
http://www.benton.or[...]
Benton Foundation
2008-12-23
[8]
서적
Video on demand: Research Paper 94/68
https://researchbrie[...]
House of Commons Library
2019-09-20
[9]
학술지
DCT source coding and current implementations for HDTV
https://tech.ebu.ch/[...]
European Broadcasting Union
2019-11-04
[10]
잡지
Home Video: Get set for digital
https://books.google[...]
Hearst Magazines
1986-06-01
[11]
잡지
New Technologies: The Converging Digital Universe
https://archive.org/[...]
1986-04-01
[12]
학술지
Data compression for HDTV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https://ieeexplore.i[...]
1992-10-01
[13]
웹사이트
History of U.S. Satellite Broadcasting Company, Inc. – FundingUniverse
http://www.fundingun[...]
2018-08-09
[14]
웹사이트
Business Insider: Digital satellite TV has Indy roots
https://eu.indystar.[...]
2018-08-09
[15]
웹사이트
NextLevel signs cable deal - Dec. 17, 1997
https://money.cnn.co[...]
2018-08-09
[16]
웹사이트
TCI faces big challenges - Aug. 15, 1996
https://money.cnn.co[...]
2018-08-09
[17]
웹사이트
CANAL+ TECHNOLOGIES and the world's first digital terrestrial television service in the United Kingdom
http://www.onhistory[...]
2018-08-09
[18]
웹사이트
Latest snapshots - Freeview/DTT bitrates
http://dtt.me.uk
[19]
웹사이트
Frequently Asked Questions -- What Is Digital TV?
https://abcnews.go.c[...]
2020-09-30
[20]
웹사이트
Digital TV: A Cringley Crash Course — Digital Vs. Analog
https://www.pbs.org/[...]
Pbs.org
2014-01-13
[21]
웹사이트
Report ITU-R BT.2140-3 (05/2011)
https://www.itu.int/[...]
[22]
웹사이트
Video compression artifacts and MPEG noise reduction
http://www.videsignl[...]
2006-02-24
[23]
웹사이트
Digital TV Info
https://www.antennad[...]
2022-07-22
[24]
웹사이트
Steering clear of the digital cliff
https://connectedmag[...]
2024-01-05
[25]
뉴스
North Tonawanda: council discusses future TV disposal
http://www.tonawanda[...]
Tonawanda News
2009-01-27
[26]
뉴스
Trashing the tube: Digital conversion may spark glut of toxic waste
http://detnews.com/a[...]
Detroit News
2009-01-23
[27]
뉴스
Old Toxic TVs Cause Problems
http://www.wltx.com/[...]
USA TODAY
2009-01-27
[28]
뉴스
Unloading that old TV not quite so simple
http://www.jsonline.[...]
Milwaukee Journal-Sentinel
2009-01-23
[29]
웹사이트
The Origins and Future Prospects of Digital Television
https://www.benton.o[...]
Benton Institute for Broadband & Society
[30]
뉴스
地上波は対応予定なし、4K放送普及の難題
https://toyokeizai.n[...]
東洋経済新報社
2014-06-21
[31]
간행물
核心リポート02
週刊東洋経済
2014-06-21
[32]
웹사이트
Digitv.fi - Development of digital tv in Finland
http://www.digitv.f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